국내 인터넷 사용자 순으로 나열하면 이렇게 됩니다.
- KT
- LG
- SKT
트위치 버퍼가 걸릴수 있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KT
- SKT
- LG
아마 LG회선을 사용하는 아마존과 비용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순서로 추정 됩니다.
아마존에서는 KT와의 망사용료를 줄이기 위해 다른 인터넷 사업자인 Akamai 에 중계서버를 두고
스트리머 <-> 트위치서버 <-> Akamai <->> 수많은 사용자
중계를 하게 됩니다.
기본은 이렇습니다.
스트리머 <-> 트위치서버 <->> 수 많은 사용자
Akamai에 사용량 제한이 있는것으로 보이고 이것때문에 버퍼가 걸리는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.
만약, 사용자가 몰리는때에는
- SEA - 시애틀
- LAX - LA 로스엔젤레스
- HKG - 홍콩
이렇게 3개 지역의 서버로 강제배정을하여 서비스를 분산합니다.
해외서버인 경우는 당연히 버퍼가 걸립니다..
파트너가 아닌경우 보통 해외서버로 배정을 하고, 사람이 몰리는 경우에도 해외서버로 분산을 합니다.
'd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근 다른 방식으로 버퍼걸리는 문제 (0) | 2020.01.02 |
---|---|
트위치 중계서버 도메인 변경 (0) | 2019.12.14 |
트위치 버퍼는 KT의 해외망 문제인가? NO (0) | 2019.10.14 |
트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어떻게 파악하여 서버를 배정하는가? (0) | 2019.10.11 |
트위치의 현재 스트리밍 서버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(0) | 2019.10.11 |